
MEA Creator Kit
MEA Creator Kit 을 사용하면 연구자가 편의에 따라 MEA를 제작하여 Maestro MEA 시스템에서 측정할 수 있습니다. Kit 에 포함된 adapter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맞춤 제작한 MEA 를 연결하고 추가적인 기능들도 통합하게 됩니다.
바이오엔지니어링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라면 이 키트에 포함된 구성품을 사용하여 생물학 연구에서의 새로운 모험과 발견의 기회를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Key Features
Your MEA. Our System.
MEA Creator Kit 을 통해 연구자의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지원하고자 합니다.
The MEA Creator Kit 구성품:
- >> 1 x MEA adapter plate
- >> 2 x signal test plates
- >> 5 x solder plates
- >> 1 x user guide

무엇을 맞춤제작 할 수 있나요?
MEA Creator Kit 을 사용하여 자유롭게 전극 위치 및 배열을 설계하고 센서나 외부 자극과 같은 추가 기능은 auxiliary port 를 통해 통합할 수 있습니다.
Custom MEA Specifications:
Channels per MEA | 64 |
MEA outer dimension | 49 mm |
MEA thickness | 0.5-1.3 mm |
Well outer diameter | 27 mm |
Well max height | 10 mm |

Overview
“Maestro Pro MEA 에서 우리가 제작한 3D 인터페이스가 훌륭히 작동되었습니다”
“우리가 스페로이드, 오가노이드, 어셈블로이드를 연구하기 위해 제작한 3D 신경 인터페이스를 MEA Creator Kit을 통해 우리의 연구에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Maestro Pro 장비에서 우리의 3D MEA를 측정함으로써 신경 스페로이드 표면을 교차하며 발생하는 파열(bursting) 신호를 측정할 수 있었습니다.”
- Colin Franz, MD, PhD, Shirley Ryan AbilityLab




3D 신경 인터페이스(A) 신경 스페로이드를 둘러싼 모든 전극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기록(B). Maestro Pro 에서 상호 작용하는 신경 활성 신호 측정 (C). Figures from Park et al. 2021.